햇볕은 쨍쨍, 길바닥은 후끈-
그러나 우리는 걷고 또 걸었다.
서울에서도 가장 중심인 시청 앞과 건너편에 있는 덕수궁 돌담길과 정동 거리를-
오늘 돌아본 곳들은 일제의 고의적인 파괴와 광복 후 우리 문화를 지키려는 인식부족으로 옛 문화재가
헐린 채 제대로 복원되지 못해 초라한 모습들로 남아있는 역사문화 현장들이다.
또 덕수궁을 중심으로 조선제국 비운의 황제 고종이 아관 파천했다가 돌아와 독살당한 현장들을
돌아보며, 반쪽짜리 나라일망정 내 나라에서 우리말 쓰고 우리가 이룩한 경제 발전의 혜택을 누리고
사는 ‘오늘’에 새삼 감사하는 마음이 든다.
[환구단]
<환구단> 정문이 아니고 이 뒤에 환구단이 있음을 시사하는 한식 대문
대한제국의 상징물 <환구단> 제사를 드리는 3층 제단은 없어지고 하늘신의 위패를 모신 <황궁우皇穹宇>가 남아 있다.
오른쪽 조선호텔(1913년 일제에 의해 지어진 조선경성철도호텔의 後身) 쪽에 환구단圜丘壇 입구가 있다.
바로 뒤에 호텔이 있어 입구가 옹색하다
무서운 표정이나 익살스러운 해치
답도에 쌍용이 아로새겨져 있어 <환구단>은 <대한제국>을 세운 후 지어졌음을 알 수 있다.
입구의 천정에도 황룡이-
조선의 天神을 모신 삼층 누각-<조선호텔> 안에 있다. 고층 빌딩이 병풍구실을 하고 있다
환구단의 <石鼓> 1902년 제작, 제천의식 때 사용하는 악기를 형상화함. 몸통의 용무늬는 조선 최고의 조각 중 하나로 평가됨
[중명전]
1890년 <황실도서관>으로 준공되었으나 두 번의 화재로 원래의 모습은 소실되고 현재에 이름
1905년 11월 16일 오후 3시30분~오후 7시 사이에 이곳 <중명전>에서 고종황제의 허락없이 이토의 강요와 협박 아래
조선제국 외무대신 박재순과 원로 대신들이 조약을 체결했다.
러시아인 건축가에 의해 설계된 <중명전> 최초의 모습
1890년경 제작, 현재 우리나라에 남아있는 태극기 중 가장 오래된 것으로 추정
역사는 때로 의로운 자를 비웃고 흘러간다~
<을사늑약>은 무효다. 따라서 <간도협약>도 무효다. 우리땅을 '한반도'라 표현하는 것도 잘못된 것이다.
간도를 포함한 우리땅을 무어라 불러야 마땅할까? *勒: 굴레 륵(늑)
광복 67주년, <중명전> 뜰에 벌은 날고 등꽃은 향기를 뿜어내고~
'국내여행 > 서울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북한산 승가사-<서울역사문화 12경 중 제 9경> (0) | 2012.06.24 |
---|---|
호수공원에서 (0) | 2012.06.02 |
덕수궁-러시아공관 <서울역사문화 12경 중 제 3경> (0) | 2012.05.03 |
개화산 등산 (0) | 2012.05.01 |
우이령 길(김신조 루트)을 넘어서 (0) | 2012.04.28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