국내여행/충청도

시가 흐르는 국토기행 1

맑은 바람 2012. 4. 22. 13:28

 

오늘 내일 광풍을 동반한 비가 온다는 뉴스에 맘이 흔들렸다.

정숙이도 내키지 않아 했다. 나도 슬그머니 포기하고 싶어 남영씨한테 전화를 한다.

날씨도 그렇고 갈 생각이 없어졌다고 조심스레 말을 꺼냈더니 一言之下

그러면 안돼, 현상이두 간다구 했는데-”

에궁~~ 端初를 마련한 죄가 있어 두 마디 못하고 마음을 돌렸다.

 

동성고등학교 앞, 720. 자리를 맡아주기로 약속했기에 서둘러 나가 있었다.

서초구민회관과 죽전에서 친구 3명이 모두 합류했다.

계간 ‘시와 시학사가 주최하는 <시가 흐르는 국토기행 1>

45인승 버스가 꽉 찼다

 

조병화 문학관-아우내 장터, 순대국밥-유관순열사 기념관 및 유적지-시마을 예술촌-

예술촌에서의 행사와 저녁식사

 

계관시인 조병화(1921~2003)

 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나의 자화상

 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버릴 거 버리고 왔습니다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버려선 안될 거까지 버리고 왔습니다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그리고 보시는 바와 같습니다

 

         고향이 사람을 냈으니 사람은 고향을 빛내야지~~

 

         하늘엔 별, 땅에는 꽃, 사람엔 시~~

 

         <조병화문학관> 앞의 매화

 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해인사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-조병화

 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큰 절이나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작은 절이나

 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믿음은 하나

 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큰 집에 사나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작은 집에 사나

 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인간은 하나

 

    

         시인 묘역의 벚꽃

 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<조병화 문학관> 뜰에서 친구들과

 

순국소녀 유관순 열사(1902~1920)

 

          기념관 내부에서 해설을 듣고 있다    사진속 유관순열사의 모습이 처철하다

 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신장 169cm의 거구였던 유관순열사. 태극기를 바투 쥐고 단호한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표정으로 거사를 결심하는 모습

 

 

  유관순 생가와 매봉교회: 유관순은 이웃 교회의 선교사 주선으로 이화학당에 유학할 수 있었다.

 

문학관과 아우내(竝川) 장터를 돌아볼 때만 해도 그럭저럭 즐길 만한 빗줄기가 오락가락했는데

<시예술촌>에서 시와 시학사신인상 시상식 및 출판기념회가 진행될 즈음해서는 날도 저물기

시작한 데다 문자 그대로 광풍을 동반한 비가 쏟아지는 바람에 급속도로 냉기가 확산되어 너도나도

방으로 들어와, 행사장에 남은 이들은 관계자 외 몇 명 되지 않았다.

고집스런 아웃사이더-신경림 시인은 시인들을 그렇게 불렀다.

생략할 거 생략하고 두 마디 할 거 한 마디만 했으면 참석자들이 덜 힘들었을 텐데--

우리 친구들은 고맙게도 경로우대’(?)를 받아 뜨뜻한 방안에서 談笑를 나누며 바깥의 행사를

바라보았다.

 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 <시예술촌>가는 길.  왼쪽으로 목천, 독립기념관 이정표가 보인다.

 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고요한 산골 마을

 

            <시마을 문학관> 입구

 

            입구의 미당 시비와 모자상

 

           예술촌으로 조성 중인 <시마을 문학관>

 

           <노인 우대방>에서

 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 행사표와 차와 다식과~

 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<시예술촌> 촌장 김재홍

 

색소폰 부는 멋쟁이 이동순시인

 

 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촌장과 그의 친구들

 

속 깊은 남영씨는 <시예술촌> 촌장님을 위해, 아우내 장터에서 반송과 梅花 등 나무 여나문

사서 우리들을 대표해서 건네주었다.

내년 봄엔 그 꽃과 나무들이 잘 자라서 꽃피고 열매 맺고 있는 모습을 보러 다시 한 번 가봐야겠다.

 

친구들과 함께 더불어~

 

 

123