사는 이야기

김광균선생-<문학의 집>음악이 있는 금요 문학 마당

맑은 바람 2009. 7. 1. 00:43

  

 

“어느 머언 곳의 그리운 소식이기에

이 한밤 소리없이 흩날리느뇨

 

처마끝에 호롱불 여위어 가면

서글픈 옛자췬양 흰 눈이 내려

 

하이얀 입김 절로 가슴이 메어

마음 허공에 등불을 켜고

내 홀로 밤 깊어 뜰에 내리면

 

먼 곳에 여인의 옷 벗는 소리

 

희미한 눈발

이는 어느 잃어진 추억의 조각이기에

싸늘한 후회 이리 가쁘게 설레이느뇨

 

한줄기 빛도 향기도 없이

호올로 찬란한 의상을 하고

흰 눈은 내려내려서 쌓여

내 슬픔 그 위에 고이 서리다” -<설야> 김광균

 

-그곳에 가면 종종 멋진 사람을 만난다.

한 달에 두 번 남산 <문학의 집>에서 열리는 ‘음악이 있는 금요 문학마당’

 

오늘은 메조소프라노 김학남씨와 함께, 시 잘 쓰고 노래 좋아하고 격조 있게 술 마실 줄 아는 사람,

병상에서 임종을 맞기 얼마 전까지 손에서 책을 놓지 않았던 분, 게다가 뛰어난 미식가이며 한때

한국경제계의 큰 인물이었던 <우두 김광균선생>을 만났다.

 

중학교 때 쓴 시가 국어선생 눈에 띄어 인정받게 됐는데 시를 잘 쓰려면 술을 잘해야 한다는 소리를

듣고 몇 놈이서 중국집으로 몰려가 ‘료리’하나 시켜놓고 빼갈을 마신 게 술 익히기의 시발점이었단다.

 

그 후 최근 20년은 아들 또래의 노재봉(전 총리, 노래 잘하고 술 좋아하고 말 잘하고 생김새까지

우리 동창 누구랑 비슷했다)을 가까이 두고 술 시중꾼에다 채홍사, 카수 역할까지 시키면서 매주

한 번씩 술자리를 했다고 노재봉씨가 회고담을 늘어놓았다.

 

좋은 시를 많이 썼지만 그 어떤 자리에서도 시인 티를 낸 적이 없다.

외모부터가 우람한(?) 체구에 얼굴이 붉으레하니 영락없는 부처님상이니, 창백한 얼굴로 줄담배

피고 다니는 당시의 시인의 모습과는 거리가 멀었지만--

 

요즈음 하늘의 별만큼이나 많은 지상의 시인들이, 외양부터 뭔가 색다르게 보이려고 값비싼 모자를

얹고 다니거나 개량 한복 따위를 걸치고 으쓱거리고 다니는 모양을 선생은 필경 마땅치 않아 했으리라.

 

선생은 또 책을 무척 좋아해 자식들에게도 귀에 못이 박히도록 책읽기를 강조했다.

뿐더러 법정 스님이나 이해인 수녀의 글을 읽고는 그 감상을 곧잘 편지에 담아 보내 그분들과의 교분도

두터웠다고 한다.

그 자손들이 예술계, 경제계에 꽤 이름난 사람들로 성장한 까닭은 개성상인의 피를 물려받은 데다 천부적인 재능과 학구적인 분위기의 영향이 아닌가 싶다.

 

천수를 누리고 말년엔 구상 선생의 인도로 천주교 신자가 되어 영성체를 모신 후 조용히 잠들 듯 세상을 떠나셨다. -벌써 10년 전 일이다.

 

-1930년대 모더니즘 작가 김광균 선생이야말로 천복을 누린 ‘멋진 남자’였다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(2003. 7.19)

'사는 이야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오현스님  (0) 2009.07.01
16세의 영업부장-오월이면 생각나는  (0) 2009.07.01
병술년 삼월 일일 正午  (0) 2009.07.01
마음의 행로  (0) 2009.06.30
<헤이리 아트 밸리>-황인용의 <카메라타>   (0) 2009.06.30