점심약속이 있어 외출을 서두르는 중에 카톡이 떴다.
동국대에서 오후에 행사가 있다고 하니 카페에 들어가 보라고--
오후 5시, 충무로역에서 친구들을 만나 본관 중강당 앞으로 갔다.
6시부터 좌석표를 나누어 준다는데 우리는 일찌감치 줄을 섰다.
대한극장에 들어가려고 이른 아침부터 장사진을 이루었던 날들이 새삼 떠오른다.
7시 정각,
피아노 반주와 함께 한 여인이 미당선생의 <자화상>을 암송한다.
<자화상>
애비는 종이었다. 밤이 깊어도 오지 않았다.
파뿌리같이 늙은 할머니와 대추꽃이 한 주 서 있을 뿐이었다.
어매는 달을 두고 풋살구가 꼭 하나만 먹고 싶다 하였으나...
흙으로 바람벽한 호롱불 밑에손톱이 까만 에미의 아들.
갑오년이라든가 바다에 나가서는 돌아오지 않는다 하는
외할아버지의 숱 많은 머리털과
그 커다란 눈이 나를 닮았다 한다
스물세 해 동안 나를 키운 건 팔 할이 바람이다
세상은 가도가도 부끄럽기만 하더라.
어떤 이는 내 눈에서 죄인을 읽고 가고
어떤 이는 내 입에서 천치를 읽고 가나
나는 아무것도 뉘우치지 않을란다.
찬란히 티워오는 어느 아침에도
이마 위에 얹힌 시의 이슬에는
몇 방울의 피가 언제나 섞여 있어
볕이거나 그늘이고나 혓바닥 늘어뜨린
병든 수캐마냥 헐떡거리며 나는 왔다.
’
그렇게 보고 싶었던 백건우와 윤정희는 얼굴도 알아볼 수 없는 희미한 무대에서 역할을 끝내고 내려갔다.헌다하는 시인들이 나와 서정주님의 대표작을 하나씩 '낭송'한다.
100세 생신을 축하하는 자리라면 한 편 정도는 '암송'해서 관객 앞에 서야 하는 게 예의가 아닌가 하는 내 까칠한 생각--
이어령 선생님이 무대에 오르셨다.
八十老軀가 무색하게 꼿꼿한 자세로 군더더기 없이 말씀하시는 모습이 여전하시다.
당신은 未堂선생을 만나 그의 정신세계를 알게 된 것이 일생의 자랑거리라 하셨다.
그리고 <花蛇>의 원작자의 깊은 속뜻을 간과한 채 표준어를 사용한데 대해 一喝하신다.
징그러운 뱀을 보는 순간 ‘으 으 으 으 ~~’하는 비명을 연상시켜 ‘을마나 크다란 슬픔으로--’라고 표현하신 거라고--
그리고 아무의 관심거리도 되지 못하는 신발을 시의 주인공으로 삼으신 분이라고.
<신발>
나보고 명절날 신으라고 아버지가 사다주신 내 신발을 나는 먼 바다로 흘러내리는 개울물에서 장난하고 놀다가 그만 떠내려 보내 버리고 말았습니다.
아마 내 이 신발은 벌써 변산 콧등 밑의 개안을 벗어나서 이 세상의 온갖 바닷가를 내 대신 굽이치며 돌아다니고 있을 것입니다.
아버지는 이어서 그것 대신의 신발을 또 한 켤레 사다가 신겨 주시긴 했습니다만 그러나 그것은 어디까지나 대용품일 뿐, 그 대용품을 신고 명절을 맞이해야 했습니다.
그래, 내가 스스로 내 신발을 사 신게 된 뒤에도 예순이 다 된 지금까지 나는 아직 대용품으로 신발을 사 신는 습관을 고치지 못한 그대로 있습니다.
뭐니뭐니해도 잔치의 하이라이트는 송창식의 무대였다.
<왜 불러><푸르른 날><선운사>를 뿜어내며 홀 안을 열기로 채웠다.
즐거운 장소로 불러주는 친구,
빵과 마실 거 사주는 친구,
늦은 저녁밥까지 챙겨주는 친구가 있어
우린 참으로 행복한 사람들이다.
'책 ·영화 ·강연 이야기 > 강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<서산부석사 관음상의 눈물>을 닦아주세요 (0) | 2015.09.24 |
---|---|
지휘자 두다멜 이야기 (0) | 2015.08.21 |
<감이당> 학술제에서 (0) | 2013.12.05 |
유연성을 지녀라 (0) | 2013.12.04 |
맹자가 당당한 이유 (0) | 2013.04.11 |